![]() | |
지리산 둘레 3개 도(전남 전북 경남)와 5개 시·군(구례 남원 하동 산청 함양) 16개 읍·면 100개 마을을 이어주는 300㎞의 '지리산길' 조성 사업은 사단법인 숲길(이사장·도법스님, 지리산생명연대 부설법인)이 주도하고 있다. 이 사업은 산림청 녹색자금 100억 원을 지원받아 2011년까지 진행된다.
지리산길은 각종 자원 조사와 정비를 통해 지리산 곳곳에 걸쳐 있는 옛길 고갯길 숲길 강변길 논둑길 농로마을길 등을 큰 동그라미 형태로 연결해 조성된다. 또 전체 노선의 고도는 최저 50m(구례군 토지면)에서 최고 1100m(하동군 악양면 형제봉)에 이르며, 지리산국립공원의 경계 외곽지역을 대상으로 산지와 농지가 만나는 경계부에 위치하게 된다.
![]() | |
27일 지리산길의 시범구간으로 선을 보인 전북 남원시 인월면 다랭이길 풍경. 사단법인 숲길 제공 | |
다랭이길은 전북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매동마을부터 경남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 금계마을까지 10.68㎞로, 전체 구간을 통틀어 가장 오랫동안 지리산 주능선을 조망하며 걸을 수 있는 구간이다. 엄천강을 사이에 두고 층층이 펼쳐진 다랑논과 지리산 주능선이 만드는 그림 같은 풍경을 볼 수 있다.
숲길 관계자는 "지리산길 전체 구간이 완성되면 도보 여행자들은 길을 따라 걸으면서 지리산의 자연환경뿐 아니라, 지역의 고유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체험함으로써 휴식과 위안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숲길은 특히 지리산길이 지리산권역에 산재해 있는 다양한 자원을 하나의 길로 연결, 지역 고유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 발전모델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숲길은 남원시 인월면에 지리산길 안내센터를 설치해 이용자들에게 이 길의 의미와 내용을 설명해주고 있으며 지역교육 프로그램, 자원활동가 양성, 이용자 체험행사 등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