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내 자유주(州)의 흑인을 납치해 노예주(州)로 팔아 넘기는 것.
음악가 ‘솔로몬 노섭’, 노예 ‘플랫’!
두 인생을 산 한 남자의 거짓말 같은 실화!
1841년 뉴욕. 아내 그리고 두 명의 아이와 함께 자유로운 삶을 누리던 음악가 솔로몬 노섭(치웨텔 에지오포)은 어느날 갑자기 납치되어 노예로 팔려간다.
그가 도착한 곳은 노예주 중에서도 악명 높은 루이지애나.
신분을 증명할 방법이 없는 그에게 노예 신분과 ‘플랫’이라는 새 이름이 주어지고,
12년의 시간 동안 두 명의 주인 윌리엄 포드(베네딕트 컴버배치), 에드윈 엡스(마이클 패스벤더)를 만나게 되는데…
단 한 순간도 희망을 놓지 않았던 12년 간의 기록이 펼쳐진다!
노예를 사고 팔던 1800년대 미국,
파란만장한 역사 속 희생양이 되었던 흑인의 인권
1800년대 미국은 노예제도를 따르는 남부의 노예주(州)와 그렇지 않은 북부의 자유주(州)로 나뉘어져 있었다. 1863년 링컨이 노예해방을 선언하기 이전의 미국은 목화생산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목화재배와 수확에 필요한 노예에 대한 수요 또한 급증했고, 노예들은 물건처럼 사고 팔렸다. 1790년에 여섯 개에 불과하던 노예주는 남북전쟁이 일어나기 1년 전인 1860년에 이르자 열다섯 개가 되었고, 1790년부터 1808년까지 18년 동안 무려 8만 명의 노예가 수입되었다. 결국 1808년에 노예 수입이 금지되자, 이후 미국 전역에서는 미국내 자유주의 흑인을 납치해 노예주로 팔아 넘기는 흑인 납치 사건이 만연하게 된다. 자유롭게 살던 많은 흑인들이 자신의 신분을 갈취 당한 채 쥐도 새도 모르게 남부의 노예로 팔려갔다. 노예제가 존재하던 시절, 노예주의 흑인들은 백인들의 소유물로 취급 받으며 인권을 짓밟힘 당했고, 일부 백인들은 당연한 듯 흑인들을 부리면서 인간성을 상실해갔다. 이후 공업의 발달로 일손이 부족했던 미국 북부지역에서 노예제도를 없애자고 주장했고, 목화재배에 노예를 부리던 남부지역에서는 노예제를 계속 유지하고 싶어했다. 점차 흑인도 피부색만 다를 뿐 백인과 마찬가지로 귀중한 인간으로 존중 받아야 마땅하다는 사람들이 생기기 시작하고, 양측의 대립은 결국 남북전쟁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미국의 16대 대통령 링컨이 1863년 노예를 해방시킨다는 선언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이 무렵 많은 흑인들이 노예해방의 뜻을 가진 북부군과 함께 전쟁터에 나갔고, 이에 힘입어 북부군의 승리로 전쟁이 끝나면서 400만 명에 이르는 흑인들은 비로소 자유의 몸이 되었다.
<노예 12년>은 노예 수입이 금지되었던 1841년, 미국에서 실제로 일어난 사건을 통해 흑인 노예의 시선으로 바라본 당시의 실상, 그리고 제도의 노예가 되어 스스로 인간의 존엄성을 떨어뜨린 백인들의 비극적 역사를 그린 영화로서 그 의의를 가진다.
‘솔로몬 노섭’과 그의 자서전 [노예 12년]
자유로운 음악가에서 비참한 노예가 된 한 남자의 실화!
1800년대 미국에서 출판된 비운의 베스트셀러 『노예 12년』. 자유인으로 태어나 뉴욕 주 사라토가에서 가족들과 즐거운 삶을 누리던 바이올린 연주가 솔로몬 노섭은 1841년, 공연을 제안 받아 가게 된 워싱턴에서 사기, 납치를 당해 노예수용소로 보내진다. 하루아침에 노예가 된 솔로몬은 자유인 신분은 물론 이름마저 빼앗긴 채 루이지애나로 보내진다. 태어날 때부터 노예가 아니었던 솔로몬은 ‘플랫’이라는 전혀 다른 이름으로 노예주 중에서도 악명 높은 그 곳에서 12년의 여정을 견디며, 생존의 시간을 보낸다. 그리고, 12년이 지난 1853년 1월, 그는 노예제도를 반대하는 캐나다인을 만나게 되면서 기적적으로 구출되어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솔로몬 노섭이 자유를 다시 찾은지 약 1년 후에 직접 집필한 이 책은 12년 간의 지옥 같고 절망적이었던 노예생활을 담담하게, 그리고 상세히 적은 기록이다. 많은 사람들은 그에게 일어난 갑작스러운 사건뿐 아니라, 노예제의 현실에 대한 상세한 묘사에 충격 받았고, 책은 1853년 출간 당시 18개월 만에 2만 7천부가 판매되어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그러나 1852년 출판된 소설 『톰 아저씨의 오두막집』의 빛에 가린 채 150여 년이 흐르고 비운의 베스트셀러로 남게 된다. 스티브 맥퀸 감독은 “160년이 지난 이 책의 역사적 가치를 21세기에 다시 한번 되새기고, 현대인들에게 ‘솔로몬의 용기와 자존심’이라는 보편적인 공감대를 나누고자 했다”며 주체성과 신념, 희망을 놓지 않았던 한 인간의 12년 간의 이야기를 영화화 하게 된 계기를 밝혔다.
'@ 藝 術 房 > 공통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에 본 영화 (캡틴 아메리카 : 2014.04.20) (0) | 2014.04.20 |
---|---|
최근에 본 영화 (우아한 거짓말 : 2014.03.19) (0) | 2014.03.20 |
최근에 본 영화 (폼페이 최후의 날 : 2014.02.24) (0) | 2014.02.26 |
최근에 본 영화 (수상한 그녀 : 2014.02.15) (0) | 2014.02.15 |
최근에 본 영화 (겨울 왕국 : 2014.01.24) (0) | 2014.01.26 |